[매경 2009년 6월 26일자]
▒ 박영옥 스마트 인컴 대표
ㅇ애너리스트나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단순 저평가 주식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ㅇ잘 모르는 기업엔 절대 투자하지 않으며, 제대로 알고 확신이 가는 회사에만 투자한다.
ㅇ 시장의 관심을 받을 때는 이미 투자하기 늦었다.
ㅇ 저평가에 대한 기준
▒ 박영옥 스마트 인컴 대표
ㅇ애너리스트나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단순 저평가 주식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ㅇ잘 모르는 기업엔 절대 투자하지 않으며, 제대로 알고 확신이 가는 회사에만 투자한다.
ㅇ 시장의 관심을 받을 때는 이미 투자하기 늦었다.
ㅇ 저평가에 대한 기준
1. 훌륭한 비즈니스 모델
2. 10년 이상 동종 사업을 지속하며 경영자가 열린 마인드를 가지고 있을 것
3. 시장 점유율이 1위 ~ 2,3위 일것
4. 매년 꾸준히 배당을 실시할 것
5. 성장동력 대비 시장에서 저평가 되어 있을 것
2. 10년 이상 동종 사업을 지속하며 경영자가 열린 마인드를 가지고 있을 것
3. 시장 점유율이 1위 ~ 2,3위 일것
4. 매년 꾸준히 배당을 실시할 것
5. 성장동력 대비 시장에서 저평가 되어 있을 것
▒ 강방천 에셋플러스 회장
ㅇ 좋은 주식은 가치 있는 주식이며 좋은 주식을 사는 것은 좋은 기업의 주주가 되는 것이지 단순히 좋은 상품을 사는 것은 아니다.
▒ 김정환 밸류 25 대표
ㅇ 기업을 사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ㅇ 주가 수익비율(PER) 저평가 종목 100개 정도 선정한 다음 차츰 시야를 좁혀가면서 기업들을 파악한다.
ㅇ 주식을 찾는 기준
ㅇ 좋은 주식은 가치 있는 주식이며 좋은 주식을 사는 것은 좋은 기업의 주주가 되는 것이지 단순히 좋은 상품을 사는 것은 아니다.
▒ 김정환 밸류 25 대표
ㅇ 기업을 사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ㅇ 주가 수익비율(PER) 저평가 종목 100개 정도 선정한 다음 차츰 시야를 좁혀가면서 기업들을 파악한다.
ㅇ 주식을 찾는 기준
1. 자회사 상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
2. 외국인과 기관이 주로 매집하는 기업
3. 현금화가 가능한 유휴 토지가 있는 기업
4. 대주주가 주식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기업
2. 외국인과 기관이 주로 매집하는 기업
3. 현금화가 가능한 유휴 토지가 있는 기업
4. 대주주가 주식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기업
▒ 이채원 한국밸류자산운용 부사장
ㅇ 가치투자 핵심은 수많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는 합리적인 소비를 주식투자로 옮겨온 것이다.
ㅇ 전망이 아무리 우울하더라도 주가가 싸면 매수 하고, 아무리 창창한 미래가 펼쳐져 있어도 주가가 비싸면 거들떠 보지 않는 것이 가치 투자자의 모습이다.
ㅇ 가치 투자를 수행하는데 부딪히는 두 가지 난제
ㅇ 가치투자 핵심은 수많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는 합리적인 소비를 주식투자로 옮겨온 것이다.
ㅇ 전망이 아무리 우울하더라도 주가가 싸면 매수 하고, 아무리 창창한 미래가 펼쳐져 있어도 주가가 비싸면 거들떠 보지 않는 것이 가치 투자자의 모습이다.
ㅇ 가치 투자를 수행하는데 부딪히는 두 가지 난제
1. 기업 가치를 계산하기 어렵다
2. 인간 본성과 반대되는 판단을 요구한다.
- 고평가된 기업이 사실은 전도 유망한 기업일때가 많다.
2. 인간 본성과 반대되는 판단을 요구한다.
- 고평가된 기업이 사실은 전도 유망한 기업일때가 많다.
ㅇ 가치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전망이 아니라 가치와 가격간의 괴리이다.
ㅇ 분위기가 한껏 달아 올라 가격이 치솟을 때는 주식을 팔아야 되며, 우울한 투자자들이 시장을 떠나갈때는 오히려 주식을 사야 한다.
▣ 닥터 둠 마크 파버
"이젠 위험 자산 멀리 할때, 현금들고 기회 기다려라"
ㅇ 지금 가격은 이미 그 수준(연초 향후에 30% 추가 상승)에 도달한 상태다.
ㅇ 더 이상 가격에 대해 말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연초에 강한 반등을 예상했던것은 주가가 지나치기 낮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조장장이 올 가능성이 높다.
ㅇ 버냉키의 말은 무조건 믿지 마라
ㅇ 인플레이션 환경을 감안하면 금과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ㅇ 다시 한번 말하지만 지금 같은 상황에서 주식같은 위험자산에 대해선 투자하라고 권할 수 없다. 지금은 안전 자산을 가지고 갈 시기다. 현금이나 예금성 자산으로 갈아 타라.
ㅇ 지금으로선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낮은 주가에 기술적 반등이 나타났는데 앞으로의 추가 상승은 기업들의 실적이 얼만큼 받쳐 주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ㅇ 올해 한국 경제가 서서히 안정화 되고 회복하는 시기가 되겠지만 완전한 회복세가 오기는 어려울 것이다. 한국 경제는 수출중심 국가이기 때문이다.
ㅇ 분위기가 한껏 달아 올라 가격이 치솟을 때는 주식을 팔아야 되며, 우울한 투자자들이 시장을 떠나갈때는 오히려 주식을 사야 한다.
▣ 닥터 둠 마크 파버
"이젠 위험 자산 멀리 할때, 현금들고 기회 기다려라"
ㅇ 지금 가격은 이미 그 수준(연초 향후에 30% 추가 상승)에 도달한 상태다.
ㅇ 더 이상 가격에 대해 말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연초에 강한 반등을 예상했던것은 주가가 지나치기 낮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조장장이 올 가능성이 높다.
ㅇ 버냉키의 말은 무조건 믿지 마라
ㅇ 인플레이션 환경을 감안하면 금과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ㅇ 다시 한번 말하지만 지금 같은 상황에서 주식같은 위험자산에 대해선 투자하라고 권할 수 없다. 지금은 안전 자산을 가지고 갈 시기다. 현금이나 예금성 자산으로 갈아 타라.
ㅇ 지금으로선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낮은 주가에 기술적 반등이 나타났는데 앞으로의 추가 상승은 기업들의 실적이 얼만큼 받쳐 주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ㅇ 올해 한국 경제가 서서히 안정화 되고 회복하는 시기가 되겠지만 완전한 회복세가 오기는 어려울 것이다. 한국 경제는 수출중심 국가이기 때문이다.
'LifeStyle INNOVATOR > 경제지능 업그레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은 용어 부터 - 펀드 편 (0) | 2010.03.03 |
---|---|
부동산 동향 (0) | 2009.11.17 |
세계 경제 더블 딥 위험 (0) | 2009.11.04 |
기업 가치를 보는 새로운 눈, EVA (0) | 2009.08.03 |
국고채 ETF 사볼까 (0) | 2009.08.02 |